SAP/SAP 용어(10)
-
SAP WM 용어 설명 - Storage Unit (저장 단위)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WM 용어인 Storage Unit (이하 SU) 저장단위에 대하여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창고에 자재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틀이 있어야겠죠~ 이동 및 적치에 용이해야 하기 때문이죠. 때문에 정해진 저장 단위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것이 SU 이고 대개는 팔렛을 이용하게 됩니다.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동 및 적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니까요~ 거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차장에서 입고된 자재 두 팔렛을 내립니다. 2. 팔렛(SU) 에 각각 10001, 10002 라벨을 부착합니다. (팔렛타이징) 3. 두 개의 팔렛(SU) 를 지게차로 적치합니다. SU 는 강제로 바꾸기 전까지는 계속 유..
2023.03.03 -
SAP WM 용어 설명 - Posting Change (전기 변경)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WM 용어인 Posting Change (이하 전기 변경) 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전기 변경은 재고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며, 상태 또는 소유권만 변한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미 적치되어있던 10001(라벨) 팔렛이 있습니다. 2. 10001 팔렛을 가용 재고가 아닌 품질 재고로 전환합니다. 3. 품질관리팀에서 확인이 끝난 후 10001 팔렛을 다시 가용 재고로 전환합니다. 예시를 보시면 10001 팔렛의 재고는 가용 -> 품질 -> 가용 이렇게 상태가 2번 변하였습니다. 하지만 위치, 라벨, 유통기한, 입고일 등 아무런 정보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전기변경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 전산적으로도 기존의 정보..
2023.02.28 -
SAP WM 용어 설명 - Transfer Order (TO)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WM 용어인 Transfer Order (이하 TO) 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TO 는 WM 에서 가장 핵심인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죽하면 TO 생성 티코드인 LT01 만 잘 써도 WM 운영이 가능하다고 할 정도랍니다. TR 은 재고가 움직이기 전 계획 단계라면, TO 는 재고가 실제로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장 작업자는 TR 을 전달받아 재고를 이동시키려고 합니다. 2. 현장 작업자가 재고를 들고 목적지로 이동합니다. (미확정 TO 발생) 3. 현장 작업자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재고를 적치합니다. (TO 확정처리) 미확정 TO 는 재고가 옮겨질 예정이며, 아직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한 상태. 미확정 TO 가 ..
2023.02.23 -
SAP WM 용어 설명 - Transfer Requirement (TR)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WM 용어인 Transfer Requirement (이하 TR) 을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앞서 WM 은 재고의 상세한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실제로 실물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 수 있기 위하여 가장 첫 번째로 알 수 있는 상태가 TR 입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A 자재가 구매입고 되었습니다. 2. 관리자는 A 자재를 상온창고에 적치해 달라고 현장 작업자에게 요청 (TR) 하였습니다. 3. 현장 작업자는 관리자의 요청 (TR) 을 확인하여 A 자재를 옮길 준비를 합니다. 어떠한 상황인지 이해가 잘 되셨을까요? 아직 자재를 옮길 계획이 되어 있을 뿐 자재는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가용재고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
2023.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