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23. 15:40ㆍSAP/SAP 용어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WM 용어인 Transfer Order (이하 TO) 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TO 는 WM 에서 가장 핵심인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죽하면 TO 생성 티코드인 LT01 만 잘 써도 WM 운영이 가능하다고 할 정도랍니다.
TR 은 재고가 움직이기 전 계획 단계라면, TO 는 재고가 실제로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장 작업자는 TR 을 전달받아 재고를 이동시키려고 합니다.
2. 현장 작업자가 재고를 들고 목적지로 이동합니다. (미확정 TO 발생)
3. 현장 작업자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재고를 적치합니다. (TO 확정처리)
미확정 TO 는 재고가 옮겨질 예정이며, 아직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한 상태.
미확정 TO 가 확정 처리 되었다는 것은 재고가 목적지에 도착한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
TR 은 가용 재고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TO 는 미확정이어도 가용 재고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TO 가 생성되어 WM 가용에는 영향을 주지만, MM 재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MM 은 저장위치 별로 재고를 관리하지만, WM 은 저장위치 내에서도 세부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WM 에서 아무리 이곳저곳으로 이동을 시켜도, MM 관점으로 볼 때는 항상 같은 저장위치 내에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TO 는 TR 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LT01 로 바로 생성 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TO 를 조회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TO 의 번호를 알고 있을 경우 LT21
- TO 의 정보를 이용하여 큰 범위로 조회할 경우 LT22
- TO 의 베이스 TR 을 알고 있는 경우 LB03 (품목의 TO 필드)
위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TO 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티코드가 아니라 테이블로 조회를 해야 할 경우
- TO 의 헤더 테이블 : LTAK
- TO 의 품목 테이블 : LTAP
위 테이블 이용하시면 테이블로 TO 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궁금한 게 있으시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이상 샙가능의 파피킴이었습니다.
'SAP > SAP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WM 용어 설명 - Storage Bin (저장 빈) (0) | 2023.03.14 |
---|---|
SAP WM 용어 설명 - Quant (퀀트) (0) | 2023.03.09 |
SAP WM 용어 설명 - Storage Unit (저장 단위) (0) | 2023.03.03 |
SAP WM 용어 설명 - Posting Change (전기 변경) (0) | 2023.02.28 |
SAP WM 용어 설명 - Transfer Requirement (TR)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