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41)
-
L_TO_CANCEL - 미확정 TO 취소 (예제 코드 포함)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확정 처리 하지 않아야 하는 TO 가 있다면 취소 처리 해주어야겠죠~ 아래 펑션을 이용하면 손쉽게 취소 처리 하실 수 있습니다. DATA lt_ltap_cancl TYPE TABLE OF ltap_cancl WITH HEADER LINE. lt_ltap_cancl-tanum = '2000815773'. " TO 번호 lt_ltap_cancl-tapos = '1'. " TO 품목 번호 APPEND lt_ltap_cancl. CALL FUNCTION 'L_TO_CANCEL' EXPORTING i_lgnum = '160' " 창고 번호 i_tanum = '2000815773' " TO 번호 i_cancl = 'X' " 미처리 전체 품목 취소 지시자 TABLES t_ltap_cancl ..
2023.03.24 -
SAP WM 용어 설명 - Warehouse Movement Type (WM 이동 유형)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WM 용어인 Warehouse Movement Type (이하 WM 이동 유형) 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M 모듈은 WM 이동 유형이 별도로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저장 위치 내에서 퀀트의 내용이 변경되는 것이기 때문이죠.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1000 저장위치 100 저장유형에 적치된 10001 팔렛을 1000 저장위치 200 저장유형에 적치하려고 합니다. 2. 저장위치는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자재 문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3. WM 이동유형 999 로 TO 를 생성하여 10001 팔렛을 200 저장유형으로 옮겨 적치합니다. 위의 예시는 자재의 저장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저장유형만 변경되었습니다. MM 관점에서는 이동이 없으나, WM 관점에..
2023.03.23 -
L_TO_CREATE_SINGLE - 이전 오더 생성 (예제 코드 포함)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TR 이나 전기변경이 없더라도 자재를 이동해야 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래 펑션을 이용하면 TO 를 바로 생성할 수 있답니다. 티코드로 말씀드리면 LT01 이 되겠습니다~ DATA : lv_tanum TYPE ltak-tanum, lt_ltap TYPE ltap, lt_ltak_vb TYPE TABLE OF ltak_vb, lt_ltap_vb TYPE TABLE OF ltap_vb. CALL FUNCTION 'L_TO_CREATE_SINGLE' EXPORTING i_lgnum = '창고 번호' " 창고 번호 i_bwlvs = '이동 유형' " WM 이동 유형 i_matnr = '자재 번호' " 자재 번호 i_werks = '플랜트' " 플랜트 i_lgort = '저장위치'..
2023.03.21 -
L_TO_CREATE_TR - TR 로 TO 생성 (예제 코드 포함)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TR 을 이용하여 TO 를 생성하는 펑션을 가지고 왔습니다. 티코드로는 LT04 이죠~ DATA : lt_trite TYPE l03b_trite_t WITH HEADER LINE, lv_tanum TYPE ltak-tanum, lt_ltak TYPE TABLE OF ltak_vb WITH HEADER LINE, lt_ltap_vb TYPE TABLE OF ltap_vb WITH HEADER LINE. lt_trite-tbpos = '1'. " TR 품목 번호 lt_trite-anfme = '1'. " 수량 lt_trite-altme = 'EA'. " 단위 lt_trite-vltyp = '저장 유형'. " 원시 저장 유형 lt_trite-vlpla = '저장 빈'. " 원시..
2023.03.20 -
SAP WM 용어 설명 - Storage Type (저장 유형)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오늘은 WM 용어 Storage Type (이하 저장 유형) 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WM 모듈은 재고를 더 상세하게 다루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공간부터 더 세부적으로 정의해야 되겠죠?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저장위치 1000 번인 A 창고는 2 층짜리 창고입니다. 2. 창고의 1 층은 상온 관리 자재가 적치되고, 2 층은 냉장 관리 자재가 적치됩니다. 3. 창고의 1 층은 저장 위치 1000 번 저장 유형 100 번으로 설정하고, 창고의 2층은 저장 위치 1000 번 저장 유형 200 번으로 설정합니다. 어떤 차이가 생겼는지 알아채셨을까요? 재고의 입고는 저장위치 단위로 자재 문서가 생성되기 때문에 재고를 저장유형 100 번과..
2023.03.17 -
CONVERSION_EXIT_ALPHA_INPUT - 앞에 0 채움 (예제 코드 포함)
안녕하세요 파피킴입니다. 쿼리로 조회하기 위해서 자릿수에 맞게 앞에 0 으로 채워줘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아래 펑션을 사용하시면 손쉽게 처리하실 수 있답니다~ DATA : lv_input TYPE c LENGTH 10, lv_output LIKE lv_input. lv_input = '123450'. CALL FUNCTION 'CONVERSION_EXIT_ALPHA_INPUT' EXPORTING input = lv_input IMPORTING output = lv_output. " 0000123450 MESSAGE s000 WITH lv_output. 아웃풋 변수의 길이가 인풋 텍스트의 길이보다 짧다면 덤프가 발생하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혹시 질문 있으시다면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상 샙가능의 파피..
2023.03.16